Let's start SVELTE, goodbye React & Vue
W3C Conference Korea 2019 View presentation on new tab References https://www.44bits.io/ko/post/direnv_for_managing_directory_environment
W3C Conference Korea 2019 View presentation on new tab References https://www.44bits.io/ko/post/direnv_for_managing_directory_environment
현재 Amazon EKS위에 컨테이너를 배포하기 위한 환경을 구축중이다. 각 운영되는 서비스 또는 Repository마다 환경들이 다르고, 개인으로 운영하는 서비스도 가끔 확인해야하는데 Global로 AWS 또는 K8s 환경 설정을 하면 귀찮아지기 때문에 폴더별로 모든 환경을 관리하고 싶어졌다. Direnv를 활용하면 directory마다 환경을 따로 관리할 수 있는데, 매번 같은 키를 넣고 관리하기도 귀찮아서 Direnv에서 사용하는 변수들도 따로 관리하고 있다. 다음은 현재 사용하는 패턴이다. Direnv 설치하기 다음은 참고한 문서이다. direnv로 디렉토리(프로젝트) 별 개발환경 구축하기 AWS 설정 옮겨가며 편하게 사용하기 AWS CLI를 계정별로 관리하고 싶을 때 profile 옵션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는 매번 profile을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위에 링크를 잘 살펴보면 “전역 설정 파일 .direnvrc"를 찾을 수 있다. 이걸 잘 활용하면 간편하게 디렉터리별 환경 설정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 ...
신규프로젝트를 진행할 경우 디비 스키마를 설계를 해야한다. 데이터의 타입부터 외래키 설정등 신경써야하는 부분들이 생각보다 자잘하게 있다. 이 경우에 주의해야하는 점들을 정리해보았다. 이 문서는 지속적으로 수정될 예정이다. Datatype MySQL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은 다음과 같다. Numeric Type BIT[(M)] - A bit-value type. M indicates the number of bits per value, from 1 to 64. The default is 1 if M is omitted. TINYINT[(M)] [UNSIGNED] [ZEROFILL] - A very small integer. The signed range is -128 to 127. The unsigned range is 0 to 255. BOOL, BOOLEAN - These types are synonyms for TINYINT(1). A value of zero is considered false. Nonzero values are considered true. However, the values TRUE and FALSE are merely aliases for 1 and 0, respectively, as shown here. SMALLINT[(M)] [UNSIGNED] [ZEROFILL] - A small integer. The signed range is -32768 to 32767. The unsigned range is 0 to 65535. MEDIUMINT[(M)] [UNSIGNED] [ZEROFILL] - A medium-sized integer. The signed range is -8388608 to 8388607. The unsigned range is 0 to 16777215. INT[(M)] [UNSIGNED] [ZEROFILL] - A normal-size integer. The signed range is -2147483648 to 2147483647. The unsigned range is 0 to 4294967295. INTEGER[(M)] [UNSIGNED] [ZEROFILL] - This type is a synonym for INT. BIGINT[(M)] [UNSIGNED] [ZEROFILL] - A large integer. The signed range is -9223372036854775808 to 9223372036854775807. The unsigned range is 0 to 18446744073709551615. SERIAL is an alias for BIGINT UNSIGNED NOT NULL AUTO_INCREMENT UNIQUE. Some things you should be aware of with respect to BIGINT columns: ...
Summary CircleCI Korea User Group 첫번째 밋업에서 서버리스 앱을 배포하기 위해 CircleCI 상에서 어떻게 빌드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CircleCI의 기본적인 기능 및 특징에 대해서 살펴본다. 발표자료 발표 슬라이드 CircleCI로 Serverless API의 CI/CD 환경 구축하기 from Kyuhyun Byun
Summary AWSKRUG 판교 밋업에서 서버리스 웹소켓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였다. 발표자료 DEMO 발표 슬라이드 Serverless websocket 톺아보기 from Kyuhyun Byun
AWSKRUG Serverless Group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C++로 빌드한 Native addon을 Serverless 환경에서 사용할 때 빌드 및 배포하는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발표자료 Native addon을 포함하여 Node.js + Typescript + Serverless 빌드 및 배포하기 from Kyuhyun Byun References https://www.slideshare.net/KyuhyunByun1/native-addon-nodejs-typescript-serverless
“시계열 데이터 전용 DB 소개"라는 주제로 2019년 1월 25일에 AWSKRUG re:Invent recap 행사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발표자료 Amazon Timestream 시계열 데이터 전용 DB 소개 :: 변규현 - AWS Community Day 2019 from AWS Korea UserGroup (AWS한국사용자모임) References https://www.slideshare.net/awskr/amazon-timestream-db https://pages.awscloud.com/aws-community-day-seoul-2019.html
2017부터 2018년에 대해서 회고를 남기려고 한다. 어느때보다 치열하고 열심히 달려온 한해였다. 다음은 한해동한 진행했던 일들의 대한 목록은 다음과 같다. AWSKRUG 회사 강의 활동 AWSKRUG 개발자 커리어에서 가장 크게 영향력을 준 모임이다. AWSKRUG는 Amazon Web Service Korea User Group의 약자로 AWS 한국 사용자 그룹이라고도 불린다. 이 모임에 처음으로 참여하게된 것은 2017년 4월 쯤이었다. 지난 2년여간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을 시작으로 거의 모든 모임에 참석하였다. AWSKRUG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
Summary 보안 취약점의 종류를 이해하고 정리한다. 보안은 개발속도를 늦추는 경우도 있지만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성에 기여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다음은 OWASP(The 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의 년도별 TOP 10 취약점의 종류이다. 2017 Injection Broken Authentication Sensitivy Data Exposure XML External Entities(XXE) Broken Access Control Security Misconfiguration Cross-Site Scripting(XXS) Insecure Deserialization Using Component with Known Vulnerabilities Insufficient Logging & Monitoring 2013 Injection Broken Authentication and Session Management Cross-Site Scripting Insecure Direct Object References ...
Summary 부산 스마트 앱 개발자 포럼에서 서버리스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 후기를 공유하였다. 발표자료 Github repo. 발표 슬라이드 0원으로 시작하는 서버리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from Kyuhyun Byun 고찰 지난 여름부터 모아온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AWS의 데이터 처리 서비스들에 대해서 공부하는 계기였다. 실제로 현업에서 데이터를 분석할 일은 많다. 데이터를 쌓고 보기 쉽게 변환하는 과정 그리고 시각화까지 다양한 기술을 요구한다. 데이터를 다루는 역량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웹서비스 구축 역량을 요구한다. ...